8강
예수님께서 상황 속에서 다른 방법으로 복음을 전달하셨듯이, 전달자가 수용자의 상황에 들어가서 그들의 상황과 문화에 맞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전달방법을 찾아야 한다. 십자군 시대와 제국주의 선교는 이 땅에서 설 자리가 없다.
상황화는 선교사의 생활방식, 그의 메시지, 사역방법에 큰 영향을 끼친다. 선교사는 이전의 의례 속에 종교적인 것들이 들어있다고 보므로, 무조건 이전 것을 금지한다고 본다. 그러나 기독교적 기능적 대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당나라 때 중국에 들어온 경교가 민중 속에 뿌리 내리지 못한 원인이 바로 상황화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유대인의 경우도 첫세대에는 봐주지만, 두 번째 세대에는 완전히 유대인처럼 행동하도록 유도한다.
발해 ‘십자가’ 유물은 개방과 공존의 상징이었다
옛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화를 수집하고 연구한다. 다양한 삶의 형태를 고려해서 적절한 신학적 답변을 제시해야 하므로, 성경공부를 해야 한다.
현지인들이 성경적 이해에 따라 자신들의 관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관습의 폐지, 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해야 한다. 지도자가 아닌 성령의 지도아래 백성들이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속에서 악하지 않은 요소를 찾아서 기독교적 기능적 대체를 만들어줘야 한다.
상황화 이론의 발달 과정은 1. 문화간 대면 2. 형식적 토착화 3. 문화인류학의 영향 4. 형식적 토착화를 돌파 5. 상황로 이행 6. 복음주의자들의 상황화 개념 수용 7. 상황화 연구
9강
모든 신학은 상황적이다. 성경은 역사와 문화, 상황 속에서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이다. 상황화의 신학 모델을 스티븐 베반스는 5가지로 분류했다. 번역, 인류학적, 실천, 종합, 초월 모델이다.
- 번역 모델은 복음은 초문화적이라고 보고, 상황은 보조, 종속적으로 본다.
- 인류학적 모델은 개인, 기독교 믿음을 앞장세워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인간 문화를 우상화하는 휴머니즘에 빠지기 쉽다.
- 실천적 모델은 남미의 해방신학자들이 만들어낸 것으로서, 문화가 사회의 변화에의 이해된다는 것으로 사회구조적 문제의 탓으로 돌리는 공산주의 특유의 남탓 논리.
- 초월적 모델은 성경 속의 메시지 안에 당대 문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철저히 무시하며, 개인만의 경험을 공유할 수 없다면 무시해버린다. 모든 인간의 마음이 모든 문화와 역사 안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할 거라는 비현실적 전체주의 모델이다.
무비판적 상황화는 복음의 절대성과 그리스도의 유일성에 대한 진리를 무너뜨리고 혼합주의로 변질될 수 있다. 문화별로 교회가 달라진다. 죄에 대해서 약화된다.
한편 비판적 상황화는 문화적 상황과 전통적 신념, 관습을 무조건 거부/수용 하기 전에 성경의 기준에 비춰서 평가한다.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 가운데 상황화 된 사건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늘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오셔서 인간과 대화를 한 점이다. 예수님께서는 은둔하지 않으시고 개방적으로 약한자, 여성, 죄인, 세리 등 사회적 지위나 권력에 제한받지 않으시고 치유받고자 하는 사람들을 막지 않으셨다. 그분은 사랑으로 낮은 자들을 섬기고, 죄인들을 용서해주셨으며, 우리들을 위해 희생하셨다. 이를 통해서 인간의 죄성과 악을 바꾸시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셨다.
10강
- 언어는 임의적 소리에 의존하며, 조직적, 구조적이며, 해당 문화 속에 존재하는 상징을 표현한다.
- 언어는 공동체의 고유한 특성으로서, 상호간에 의사교환을 하며 내면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 언어는 복잡하며 소속된 문화에서만 더 적절하게 표현될 수 있다. 즉 언어는 문화, 연령, 성별을 반영한다.
- 서구언어들은 실재를 구조화하고, 경험한 내용을 구분 해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양 언어에는 이런 사고가 존재하지 않는다. 서구언어는 시간 - 시제를 중시한다.
언어학습은 학문적 활동이 아니라 사회적 활동이어서, 장벽 저편의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자존심을 버리는 사람이 잘 배운다.
전도에 있어서 해당 지역의 말을 통해서 전달하는 게 현지인들이 받아들이기 쉽고, 기독교 자체가 배우는 가르침이므로, 전도하는 이들부터 해당 지역의 말을 솔선수범해서 배우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해당 지역의 언어를 열심히 배우는 것이 그들을 향한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